반응형
        var f = document.createElement("form");
f.setAttribute("method","post");
f.setAttribute("target","iFrameName");
f.setAttribute("action","target.htm");
document.body.appendChild(f);

var i = new Array();
i[0] = document.createElement("input");
i[0].setAttribute("type","hidden");
i[0].setAttribute("name","name01");
i[0].setAttribute("value","value01");
i[1] = document.createElement("input");
i[1].setAttribute("type","hidden");
i[1].setAttribute("name","name02");
i[1].setAttribute("value","value02");

var cboOBJ = getID("cboOBJ");
i[2] = document.createElement("input");
i[2].setAttribute("type","hidden");
i[2].setAttribute("name","name03");
i[2].setAttribute("value",cboOBJ.selectedIndex);

f.appendChild(i[0]);
f.appendChild(i[1]);
f.appendChild(i[2]);
f.submit();
//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문서내의 아이프레임(iFrameName)에 POST로 변수전달하는 방법이다.
target.htm을 타겟으로 post로 전달된 변수된다.
i[0]는 "name01" 에 "value01" 의 값을 가지고 //i[1]동일
i[2]는 cboOBJ라는 콤보박스의 선택된 인덱스값을 전달한다.

※ 위방법은 크롬플러스에서 동작한다. ie에서는 iframe이 아닌 새창으로 타겟을 띄운다.
반응형
:1,$s/[Control]+v+m//g

윈도우상에서 작업한 문서에 ^M문자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.
내경우엔 울트라에딧에서 일괄Replace작업을 하던 중에 주로 발생했는데
윈도우상의 울트라에딧에서는 잘되지만 리눅스로 옮기니 막상 컴파일이 안되어 살펴보니
^M문자가 곳곳에 밖혀있었다.
이는 vi에서 일괄삭제해주는 것이 좋다.

반응형
window.onload = function(){
    FunctionName();
}

반응형
<script language="JavaScript">
document.onkeydown = checkKeycode
function checkKeycode(e) {
var keycode;
if (window.event) keycode = window.event.keyCode;
else if (e) keycode = e.which;
alert("keycode: " + keycode);
}
</script>

---------------

참고로 영문키코드 기준이다.
한글로 바뀐상태로 키보드를 누르면 한글에 해당되는 키값은 한가지만 반환된다.
반응형
문자열 Replace하는 방법

var txtObj   = document.getElementById("txtObj");  
txtObj.value.repalce("\n","<br>");

개행문자를 <br>로 바꿔준다.
그러나 repalce("\n","<br>");로는 문자열의 첫개행문자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변경되지 않음으로
옵션을 추가해준다.

txtObj.value.repalce(/\n/g,"<br>");
이렇게 하면 문자열의 모든 개행문자가 <br>로 대치된다.
참고로 /\n/g에서 g가 옵션이다.
g : 모든 문자열에서 검색
i : 대소문자구분안함
m : 여러줄 검색
옵션은 위와 같다. 사용법은 /\n/gi 와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면 된다.

+ Recent posts